국채란 정부가 다양한 목적의 재정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미국 국채(Government securities)는 만기에 따라서 Treasury Bills, Treasury Notes, Treasury Bonds로 나눌 수 있으며
만약 채권 가격이 물가와 연동된다면 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TIPS)로 분류된다.
1) Treasury Bills
미국 단기 채권으로 1년 미만의 만기를 가지고 있다. (단기채권)
2) Treasury Notes
2,3,5,7, 10년에 이르는 만기를 가지고 있고 6개월마다 이자를 지급받는다. (중기채권)
3) Treasury Bonds
20년, 30년의 만기를 가지고 있고 6개월마다 이자를 지급받는다. (장기채권)
4) 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TIPS)
미국 소비자 구매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에 따라서 조정되는 채권으로 물가에 연동된다. 5, 10, 30년의 만기를 가지고 있으며 6개월마다 이자를 지급받는다.
물가가 오르면 이자율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는데 이자율이 올라가면 채권의 가격은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발행된 채권이라고 보면 된다. 즉 물가 상승과 이자율 상승이 예상되는 시장환경에서는 채권 투자가 어려워지는데 이때 물가 상승으로 인한 채권 가격 하락에 대하여 대비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는 TIPS에 투자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
'금융지식 쌓기 (Financial Litera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은행 글로벌 경제 성장률 2.9%로 삭감, 스테그플레이션 진짜 걱정해야해? (1) | 2022.06.08 |
---|---|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0) | 2022.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