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월가의 영웅 (피터린치의 종목 선정 꿀팁)
2022.06.19 - [분류 전체보기] - #10 월가의 영웅 (feat. 피터 린치의 투자법) - 1
#10-1 월가의 영웅 (feat. 피터 린치의 투자법)
월가의 영웅, 피터린치, 2000 원제: One Up On Wall Street: How To Use What You Already Know To Make Money In The Market 월가의 영웅이라는 오글거리는 제목보다 원제가 더 직관적이고 좋은 것 같아서 같이..
meta-morphosis.tistory.com
2022.06.19 - [분류 전체보기] - #10 월가의 영웅 (나는 주식 투자에 적합한 사람인가?)
#10-2 월가의 영웅 (나는 주식 투자에 적합한 사람인가?)
2022.06.19 - [분류 전체보기] - #10 월가의 영웅 (feat. 피터 린치의 투자법) - 1 #10 월가의 영웅 (feat. 피터 린치의 투자법) - 1 월가의 영웅, 피터린치, 2000 원제: One Up On Wall Street: How To Use What..
meta-morphosis.tistory.com
워낙 중요한 책이다보니 꼼꼼하게 기록을 남기고 싶어서 나눠서 글을 올리고 있다.
지난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이 책의 가장 하이라이트, 엑기스라고 할 수 있는 [2부] 종목 선정에 대하여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새 종목을 고를 때는 적어도 새 냉장고를 고르는 만큼 시간과 노력을 들여라.
(아래 내용이 길지만, 위의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책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읽으면서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파트이기도 하다.
참고로 10루타 종목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이것은 10배 수익을 안겨주는 종목을 의미한다. 원어로는 텐베거(ten-bagger)이다.
1. 10루타 종목을 찾는 법?
당신의 주의를 살펴라. 집 근처, 직장 주변, 먹는 약을 살펴보고 생활 속에서 기회를 찾아라. 전문지식이 있다면 지식을 활용하라.
2. 주식 유형에는 6가지가 있다.
1) 저성장주 : 보통 배당주로 불리기도 함. 주가는 이익에 비례한다. 즉 이익이 빨리 오르지 않으므로 주가도 빨리 오르지 않는다. 배당도 지급하지 않는다면 투자할 이유가 있나? 없다고 생각합니다~
2) 대형우량주 : 계속해서 좋은 실적을 내고 있는 거대기업들이다. 하지만 덩치가 이미 커서 10루타 종목이 되기는 힘들다.
피터린치는 말한다. "대형우량주를 보유해서 1~2년 동안 주가가 50% 상승했다면, 충분히 오른 것이 아닌지 검토하고 매도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이것을 조금만 빨리 알았더라면... 작년에 팔았을 종목이 많았는데 지금은 마이너스다 ㅠㅠ...
대형우량주에 대해서는고성장주보다 더 민첩하게 이익 실현을 생각해야 한다. 대형우량주는 내가 대개 30~50% 이익을 바라보고 매수하는 종목이며, 매도한 뒤에는 주가가 오르지 않은 비슷한 종목에 대해 이런 투자 과정을 되풀이한다.
3) 고성장주 : 고성장주가 꼭 고성장 업종에 속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저성장 업종에서도 확장할 여지만 있으면 얼마든지 고성장주가 될 수 있다.
나는 재무상태표가 건전하고 커다란 이익을 내는 고성장주를 찾는다. 이런 투자 비결은, 이들이 성장을 멈추는 시점과 성장에 지불할 대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4) 경기순환주 : 경기순환 업종에서는 사업이 확장과 수축을 되풀이한다. (반도체, 자동차 관련주 등 우리나라 대표 우량주들이 여기에 속할 것이다.)
경솔한 투자자들이 안전하다고 생각하여 매수했다가 손쉽게 돈을 날리게 되는 대표적인 주식 유형이다. (네... 맞습니다... ㅠㅠ)
5) 회생주 : 망할 것처럼 생사가 불확실했다가 살아 돌아오는 주식들. 인내심을 발휘하고, 계속 뉴스를 추적하며, 냉정하게 뉴스를 읽어라.
6) 자산주 : 값어치 있는 자산을 보유한 기업. 현금무더기, 부동산, 골프장, 호텔 등. 그런데 이런 자산 가치가 주주이익으로 연결이 되느냐? 이것은 또다른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지 않은 사례가 더 많았던 것으로 알고있어서...)
3. 결국 주식 유형에 따라서 투자 전략이 전혀 다르다.
그래도 항상 확인할 몇가지 중요한 숫자들이 있다.
1) PER (Price Earnings Ratio) : 기업의 시총을 기업의 이익으로 나눈 것. 기업이 이익의 몇 배의 가치를 지녔는지 확인하여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확인하는 지표이다. 주식의 종류, 업종, 유형에 따라 PER 수준이 다르다.
여기서 꿀팁, 기업의 과거 PER을 추적하라
2) 회사의 미래 이익... 미래 이익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만 있다면 떼부자가 될 것이다. 애널리스트와 기관투자자들도 열심히 예측하지만 맞추기는 쉽지 않다.
여기서 피터린치의 꿀팁이 나온다.
우리가 미래 이익을 예측할 수는 없어도, 회사가 세운 이익 중대 계획은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계획이 제대로 진행되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회사가 이익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다섯 가지가 있다. i) 비용을 절감한다. ii) 가격을 인상한다. iii) 신규시장에 진출한다. iv) 기존 시장에서 매출을 늘린다. v) 적자 사업을 재활성화하거나, 중단하거나, 매각한다. 이것이 우리가 조사할 요소들이다.
3)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특정 제품 대문에 어떤 회사에 관심을 두게 될 때, 가장 먼저 이 제품이 그 회사에서 차지하는 비중부터 알아봐라.
나는 이마트 주주이다. 이마트가 스타벅스 코리아 지분을 추가로 인수하면서 대주주가 되었고 연결재무제표에 스타벅스에서 나오는 실적이 잡힌다는 소식에 기뻐했다. (그리고 주식을 팔려다가 참았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수익성이 매우 좋은 알짜 회사가 맞다. 그런데 전체 이마트 매출과 비교해서 그렇게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 책을 읽다가 멈추고, 확인해보니) 발견했다. 뭔가 속은 기분인데... 내가 꼼꼼히 확인하지 못했군...
4) 현금보유량
현금보유량을 파악하려면 재무상태표에서 현금성 자산 총액에서 장기부채를 빼면 알 수 있다.
(재무상태표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른 책에서 깊게 파볼것이다.)
5) 부채 요소 : 기업이 위기를 맞이했을 때 생존과 파산을 결정하는 요소.
채권자가 요구하는 즉시 상환해야하는 부채인지(ex. 은행대출금) 아닌지(ex. 장기회사채).
6) 배당 : 배당을 꾸준히 증가시킨 회사가 최상의 선택이다.
7) 장부가치, 숨은 자산 : 실제 가치보다 부풀려지거나 축소될 경우 정확한 가치를 파악한다면 훌륭한 투자가 될 수 있지만, 업종 이해와 회계 지식이 필요해보인다.
8) 현금흐름 : 돈을 벌지만 최신 설비를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지출이 생긴다면? 돈을 벌기 위해서 돈을 써야 하는 상황이라면?
현금흐름을 확인하려면 잉여현금흐름을 확인하라. FCF(Free Cash Flow) 잉여현금흐름이란 정상적인 자본적 지출(CapEx)을 차감한 뒤 남는 현금흐름을 말한다.
9) 재고 : 재고가 매출보다 빠르게 증가한다면 좋은 신호가 아니다.
4. 2분 연습을 실천하라.
주식에 투자하기 위해서 열심히 정보 조사를 하고 최대한 많이 파악했다면 그 스토리를 2분간 설명해보라. 이 주식에 흥미를 느끼는 이유, 회사가 성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함정은 무엇인지, 앞에 누군가 있어도 되고 혼잣말을 해도 된다.
일단 주식의 스토리를 가족, 친구, 개나 어린이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면, 당신은 상황을 적절하게 파악한 셈이다.
피터린치는 친절하게도 최종점검목록이라고 해서 여섯 가지 유형의 주식에 대해서 파악해야 하는 내용을 요약까지 해줬다... (감동) 근데 이것도 양이 한참 많아서 다음 글에 정리하겠다!